전체 글

SQL/HackerRank(MYSQL) ·
문제 링크 https://www.hackerrank.com/challenges/what-type-of-triangle/problem?isFullScreen=true Type of Triangle | HackerRank Query a triangle's type based on its side lengths. www.hackerrank.com 문제 Write a query identifying the type of each record in the TRIANGLES table using its three side lengths. Output one of the following statements for each record in the table: Equilateral: It's a triangle wi..
ETC/CentOS ·
1. root 계정으로 접속하기 2. vi /root/.vimrc 입력하기 vi /root/.vimrc 3. 'a' 누르고 Insert mode로 바꾼뒤 내용 입력해주고 Esc + wq! 로 저장후 빠져나오기 set nu set audoindent set background=dark 3. vi /root/.bashrc 들어가서 수정해주기 다섯번째 줄 복사(yyp 누르면 다음 줄에 복사 됨)해준 후 아래와 같이 vi='vim'으로 수정하기 4. source /root/.bashrc 입력하고 vi /root/.bashrc로 폰트 변화 확인하기 (아래 두번째 사진과 같이 폰트 색상이 바뀌었다.)
ETC/CentOS ·
이렇게 가상머신을 만들어준 후 초기 세팅을 해보자. 먼저 만들어진 가상머신의 설정을 눌러준다. 설정에 들어가서 좌측에 시스템을 눌러준후 포인팅 장치를 USB 태블릿으로 변경해준다. CPU는 이후에 사용을 위해 2개에서 4개로 설정할 수 있는데 나는 4개로 설정해주었다. 이제 시작 버튼을 눌러 가상버신을 시작해보자! 시작을 누르면 시동 디스크를 선택하라고 하는데 이전 포스팅에서 다운로드했던 CentOS DVD.iso 파일을 선택해준다.
ETC/CentOS ·
가상머신이란?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해서 그 위에서 운영체제가 작동하도록하는 기술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(맥OS에서 윈도우, 윈도우에서 리눅스) 독립된 작업공간이 필요한 경우 (바이러스 회피, 백업) 하나의 머신에서 여러명에게 운영체제 환경을 제공 출처: 생활코딩 가상머신 강의(opentutorials.org/course/173) 가상머신 (virtualbox) - 생활코딩 가상머신이란?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해서 그 위에서 운영체제가 작동하도록하는 기술 가상머신을 사용하는 이유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(맥OS에서 윈도우, 윈도우에 opentutorials.org Windows10에서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이전 포스팅에선 WSL을 설치했는데 이번엔 Virtua..
SQL/HackerRank(MYSQL) ·
이전 글에서 MySQL 설치와 DB 접속까지 확인을 끝냈다. 이번에는 WSL에서 MySQL 데이터베이스를 만지는 대신 좀 더 보기 좋게 사용하기 위해 Workbench를 설치해보자. dev.mysql.com/downloads/workbench/ MySQL :: Download MySQL Workbench Select Operating System: Select Operating System… Microsoft Windows Ubuntu Linux Red Hat Enterprise Linux / Oracle Linux Fedora macOS Source Code Select OS Version: All Windows (x86, 64-bit) Recommended Download: Other Download..
Me ·
즐거운 세상을 만들고 싶은 엔지니어데이터를 통해 더 나은 삶과 즐거운 서비스를 제공하는 것에 관심이 있습니다. IT 스타트업 데이터 사이언티스트팀에서 AI기반 디지털 광고 플랫폼 개발에 참여했습니다. 해당 업무 및 프로젝트를 통해 데이터 수집부터 전처리, 적재, 모델링, 배포까지 서비스의 End-to-End를 경험했습니다. 서비스를 개발하며 좋은 데이터(Good Data)의 중요성을 느껴, 현재는 '데이터 엔지니어'로서 데이터 파이프라인 구축 및 데이터 품질 향상을 위한 업무를 진행하고 있습니다.     github: https://github.com/ksumini
Hit the books!